본문 바로가기

건축일반구조학

각 부 개구부, 창호

벽, 바닥, 지붕 등이 차단 기능을 갖는데 비하여, 개구부는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건물에 부분적으로 설치됩니다. 출입구의 문은 열면 물체가 통과할 수 있고, 유리창은 빛을 통과시키고, 공기는 막는 선택적 투과성이 있습니다. 재료에 따라 분류 하면 목제 창호, 금속제 창호, 합성수지제 창호가 있습니다. 목제 창호는 문짝과 문틀을 별도로 제작하고, 문틀은 대목이 맡고, 문짝은 창호 공이 분담하는 것이 보통입니다. 금속제 창호는 문틀과 문짝을 일체로 제작하는 경우가 많으며, 합성수지 창호는 한랭지나 염해 피해가 우려되는 해안 인접지역에서 많이 채용됩니다. 창호는 개폐 방법이나, 특히 높이에 따라 여러 종류가 있습니다. 외벽의 개구부는 차단과 투과를 적당히 조절해야 하고, 상반된 요구가 나타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예로서 현관 출입구의 경우 방범의 측면에서는 통과를 막아야 하지만 재해시의 피난을 생각하면 정반대가 됩니다. 빛과 열을 고려하면 겨울에는 많아야 좋지만 여름에는 차단해야 좋은 것입니다. 밖의 경치를 보는 것도 좋지만 밖으로부터의 시선을 차단시킬 필요도 생깁니다. 공기의 환기나 통풍도 그렇고 따라서 열 수 있는 구조로 만들거나 커튼 또는 블라인드 등을 이용하여 복잡한 요구에 대응합니다. 개구부는 열리는 까닭에 성능치가 벽체보다 저하되는 수가 많습니다. 기밀성은 실내의 열환경에 영향이 큰 중요 항목으로서 차음성과도 연관성이 깊습니다. 개폐방식에도 관계가 잇고, 문틀과 문짝을 한꺼번에 제작해야 좋지만 유리 부분에서는 차단성이 저하되기 쉽습니다. 평행이동과 회전운동 및 그 조합에 의하여 여러 가지 개폐방식이 있습니다. 고정창(붙박이창), 미닫이 창호, 미서기 창호, 오르내리기 창호, 여닫이 창호, 회전 창호, 들창, 미들창, 주름 문 등이 있습니다. 바이패스 창은 실내 측에서도 유리를 청소할 수 있고, 횡축 회전이나 종축 전창도 실내에서 안전하게 유리를 닦을 수 있습니다. 밖으로 여는 창은  빗물을 잘 막을 수 있으나 바람에 세게 닫히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고, 밖 여닫이 창은 빗물막이가 어렵지만 화재 시 배연 전용창으로 사용하면 좋습니다. 문의 개폐 방향은 평면계획의 조건에 맞아야 되고, 피난 경로에서는 피난 방향으로 열려야 합니다. 주택의 현관은 구미에서는 안으로 열리지만, 동야에서는 밖으로 열립니다. 창호 부분은 벽에 비하여 빗물이 샐 우려가 많습니다. 빗물의 움직임은 중력뿐만 아니라 내외의 압력차, 공기의 흐름, 접합부에 생기는 응력, 모세관현상 등에 의해 일어납니다. 바람이 강하게 불면 실내·외 압력차가 커지고, 접합부의 응력도 커져서 빗물이 많이 침투하게 됩니다. 이를 막으려면 실내측을 높게 하여 경사를 주고 턱을 만들며, 모세관현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물 끊기를 두고, 위틀에는 플래싱(flashing)을 덮어서 벽체에 흐르는 빗물이 위틀의 상부로 침투하지 못하게 막습니다. 밑 틀은 창호에서 생기는 결로를 고려하여야 하며, 페어 글라스를 써서 내·외부 온도차를 사용하면 좋습니다. 창호 부분의 구성방법은 벽체의 재료와 창호의 재료에 따라 여러 종류가 있습니다. 철근콘크리트 벽체에 급속제 창호를 넣는 경우, 벽체와 틀의 사이에 2~3cm의 여유를 두고, 콘크리트를 타설 합니다. 창호틀을 정확한 위치에 설치하고, 앵커를 철근에 용접한 후 모르타르를 채우는 방법이 일반적입니다. 이것은 나중 달기이고, 콘크리트 타설 전에 거푸집에 창호틀을 설치하여 일체화하는 방식을 먼저 달기라고 합니다. 먼저 달기는 접합이 확실하고, 빗물막이가 좋지만 수정이 어려우므로 시공에 세심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벽돌이나 블록조에서는 먼저 달기가 일반적이지만, 나중 달기를 위하여 미리 줄눈에 앵커를 묻어둘 경우 흔들리기 쉬우므로 관리에 주의해야 합니다. 목조 벽체에 목제 창호를 넣는 경우, 미리 제작한 틀을 기둥, 샛기둥, 인방, 지방으로 둘러싸인 부분에 집어넣습니다. 틀을 끼우기 위한 여유는 작아도 되며, 개폐에 의한 충격과 견고한 접합에 주의합니다. 문틀 및 창틀은 위틀, 선틀, 밑 틀로 구성되며, 창호 개구부로 뚫린 벽의 단부가 보이지 않게 하려면 문선을 이용하여 마감합니다. 미서기나 미닫이의 경우 위홈대, 벽선, 밑 홈대로 부르기도 하며 홈 나비는 20mm, 홈 깊이는 위홈대 15mm, 밑홈대 3mm 정도로 합니다. 창틀에서는 밑 틀(밑홈대 window sill)의 안쪽으로 창선반(window stool, window board, elbow board)이 실내로 나오게 대는 경우도 많습니다. 목제 문틀에 쓰는 재료는 홍송, 낙엽송, 삼송, 적송, 나왕 등의 곧은 결의 재료를 완전히 건조하여 사용합니다. 선틀은 위틀에 내 다지 쌍장 부나 내 다지 턱 장부, 또는 보임면 연귀 내다지 쌍장부 쐐기 치기로 합니다. 간단히 할 때에는 반다지 통 장부 또는 턱 솔 넣고 큰 못 치기로 하고, 위틀과 밑 틀은 5cm 정도 뿔을 내밀어 둡니다. 고창이 있을 때 넣는 중간 틀은 선틀에 보임면 허리 대고 통 넣기 또는 내 다지 장부 맞춤으로 합니다. 옆문이 있을 때에 세우는 중간선 틀은 선틀에 준하지만, 고창 가운데 두는 중간 선대는 위틀에 내 다지 장부, 중간 틀에 내림 주먹장(옆 밀어 넣는 주먹장)으로 하고, 장부에는 모두 벌림 쐐기 치기를 합니다. 여닫이 문틀은 주위에 6~9mm 깊이로 문 두께와 맞게 문닫이 턱을 팝니다. 문턱을 두지 않을 때는 밑 틀을 없애기도 하며, 문지방이 있는 경우 마모에 대비하여 참나무 등을 쓰고, 외부 출입구는 대리석, 화강석 등으로 하기도 합니다.

'건축일반구조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각 부의 계단  (0) 2022.05.26
각 부의 바닥  (0) 2022.05.24
각 부 기초와 벽  (0) 2022.05.24
고층 구조물의 구조형식  (0) 2022.05.22
목조의 바닥구조  (0) 2022.05.19